생 날 씨앗들 Review by Gim Jong-gil
김순임 -생 날 씨앗들 월간미술4월호
대안공간 눈 3.2-29
1980년 금강 자연미술제가 이듬해인 1981년, 야투 야외현장미술 연구회로 출범했을 때 우리가 아는 미술은 거기 없었다.창립을 주도했던 임동식은 "그리지 않는 방법으로금강에서의 느낌이나 생각을 표현" 하라고 했다. "야투는 자연과의 신선한 접촉을 통하여 야외미술을 연구하는 모임으로 자연에 대한 강한 사랑을 바탕으로 그의 순리적 변화, 무한한 넓이와 그 두께, 그 가운데 모든 생명력을 예찬한다."는야투의 선언문. 한데, 나는 김순임의 작품에서 야투의 미학적 특질을 읽는다. 그는 그 스스로 자연미술가임을 자처한적도 없고 자연미술 미학을 궁극의 목표로 삼는 미술가도 아니다. 그가 '그리는 방법'과 '만드는 방법'을 모른 것도 아니고 또한 그 방법론이 미학적 세계와 얼마나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지도 잘 안다. 그러나 그는 '그리고 만드는 방법'이 미학을 선취하거나 더 상승 시킬 것이라 생각하지 않는 듯 하다. 오히려 익숙한 창작 방법론이 자유로운 예술관을 옭아 맬 수 있고 작품세계를 부자연스럽게 변질시킬 것이라 생각한다. 그래서 그가 취한 방법이 '영매(靈寐 shaman)'와 에테르 공간(空間, The Ethereal Space)'이다. 물질적 육체에 생명을 부여하는 영적 매개자로서의 그와 그런 그가 생명을 부여하는 모궁(母宮)으로서의 공간(작업실). 이번 전시는 거기서 출발한다. 그는 이번 전시를 '김순임의 생날 씨앗들'이라 명명했다. "나는 내 일이 '여행하는 농사꾼'이라 생각한다. 곳곳에 감추어진,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것들을 찾아내 발견하고, 그것을 돌보기도, 가꾸기도, 양분을 주어 성장시키기도 하며 열매를 기다렸다가 나누어 먹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그의 작업실에 가 본 사람들은 알 것이다. 그의 작업실은 마치 누에의 고치집 같은, 거미의 거미줄 같은, 이미지 창조와 생산이 발아하는 공간임을, 그리되 그림에 속박되지 않고 만들되 조각에 속박되지 않는 무수한 '그리고 만들기'의 흔적이 공간에 가득하다. 나는 이렇게 말한 바 있다. "그는 마치 그 공간에서 십 수년을 수행해 온 작가인양' '공간의 시간성'을 무수히 싹 틔웠다. 썩은 나무에 기생하는 수십 수백의 버섯처럼 '시간성'은 하나가 아니라 여럿으로 기생했다. 그는 그 공간에서 스스로 에테르체이자 에테르간이 되었다." 우리 미학에 생생지리(生生之理)'의 개념이 있다. 모든 생물이 생기고 번식하는 자연의 이치를 뜻한다. 그는 그의 몸을 나무의 몸으로 치환한 듯 하다. 전시장의 모든 작품은 생생지리의 미학적 증거물처럼 싱싱하게 현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나무의 가지는 사유의 시간성을 상징한다. 크고 작은 가지들의 마디마디가 작업실이라는 공간에 붙어 있었다. 담쟁이 넝쿨처럼 붙어서 그것들은 숭고한 미학적 은유가 되었다.
김종길.경기도미술관 교육팀장
Kim Kim Soonim _Wild Seeds
Review by Gim Jong-gil (curator & critic)
Alternative Space Noon, March 2-29
Art as we know it was not to be found at the 1981 launching of the YATOO Outdoor Field Art Research Association, which had developed out of the 1980 Geumgang Modern Art Festival. Dong-sik Lim who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establishing of the Association declared that one must "express the feelings or thoughts one has in Geumgang (Geum River) in a non-drawing method." "YATOO is an association for the research of outdoor art through fresh contact with nature. Based on a strong love for nature, it celebrates nature’s spontaneously gradual changes, its indefinite breadth and thickness, and every life force in it," proclaims the founding statement. Oddly, the same aesthetic characteristic is shown in Soon-im Kim's work. Kim has never claimed herself to be a nature artist, nor does she take the aesthetics of nature art as her ultimate goal. She knows 'how to draw' and 'how to make' and is fully aware of how closely such methods are connected with an artist's aesthetic vision. However, she does not seem to believe that 'drawing and making' will procure or elevate the aesthetics of her art. Rather, she seems to hold that familiar creative methodologies can restrict free creative visions and make for a more unnatural artistic world. The methods that she has chosen instead are shaman and 'the ethereal space.' Herself as a spiritual medium bestowing life to material forms and the space(work room) as the mother womb upon which life is thus bestowed... This is the starting point of the exhibition. Kim has given the exhibition the title of "Soon-im Kim's 생날 씨앗들." "I look at my job as that of a 'traveling farmer.' I think of myself as someone who finds common things that are hidden all around and takes care of them, nurtures and helps them grow, waiting for them to bear fruit, and then sharing that fruit with others," she says. Those who have been to her workroom should know that it is like the cocoon of a silkworm, the web of a spider, a space germinating the creation and production of images. The space is filled with countless traces of 'drawing and making,' drawing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drawing and making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sculpture. As I have once said, "Like an artist who has worked for several decades in the space, she sprouts 'temporality of space.' This 'temporality' is parasitic in the way mushrooms parasitize rotten trees. The artist herself becomes an 'ethereal body' or 'ethereal space'." In Korean aesthetics, there is the concept of "all life's logic," referring to the logic of nature by which all forms of life are created and reproduced. Kim seems to have substituted her own body with that of a tree. The exhibited artworks are in vivid existence as if to aesthetically verify all life's logic. The tree branches symbolize the temporality of thinking. Branches, large and small, hang from the space of the workroom. Growing like ivies, they become sublime aesthetic metaphors.
Jong-gil Gim (Education Team Manager,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 A scene from Soon-im Kim's solo exhibition. With her installation of all things created in the workroom, Kim also talks about the time accumulated and other forms of life conceived there.